12.복음의 길, 그 어그러진 길


복음의 길, 그 어그러진 길
데살로니가 교회

신약 권능의 대표적인 권능을 보면
예수님의 말씀이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
But ye shall receive power.
after that the Holy Ghost is come upon you:
and ye shall be witnesses unto me both in Jerusalem,
and in all Judaea, ane in Samaria,
and unto the uttermost part of the earth.  사도행전 1:8]
이 구절은 누구나 잘 알고 있으면서
잘못 해석한 사이비 목사들과 부흥사들이 자주 인용하는 구절이고
호도 된 해석으로 이 구절을 주문처럼 외우고 가르쳐 올바른 복음적인 개념을,
하나님의 공의의 개념을 저해(沮害)하여, 세상의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가치관보다 못한
그리스도인의 생활과 그릇된 전도, 선교라는 개념을 가르친 자들이 대부분이며
그런 자들이 그리스도의 지상 명령이란 주장에
대다수가 맹종하여 반사회적인 정서를 만들게 자초한 일들은
복음의 정의에 대한 무지였고 아직도 이런 개념과 현상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한국교회와 해외 교회는 병들어 신음하고 있다.
증인이 되리라는 말씀을 곡해하여
복음을 전하는 전도, 선교만이 증인이 되는 길 인양 가르치고 배웠기에
하나님의 의(義)에 대한 자신들의 믿음의 정체성을 확립하지도 못하였으면서,
근본적으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인식하지 못하면서
신학을 가르치고 배운 자들의 가르침이 온전하겠는가.
그리스도인의 정의(正意)에 대한 정의(精義) 조차 판단하지 못하여 분별된
하나님의 공의에 대하여 무지하여
‘공의’를 제대로 설명할 사람이 제대로 없으니 통탄할 일이다.
그러니 아무 때나 하나님의 뜻이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자 주장하고
선교제일주의에 빠져서 선교에 모든 역량을 써야 한다면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계획과 간절한 기도도 없이 선교사를 파송하고 지원하면서
끝없이 여러 선교지의 자랑으로 이를 교인들에게 자부심으로 심어주었고
언제부터인지 단기선교의 유행의 열풍이 불어
단기선교가 현지 선교사와 교제와 교통 속에 이루어지지도 못하면서
단기선교라는 선교의 거창한 명칭으로 적선과 봉사가 믿음의 척도가 되어
교회의 구걸걸이가 되었고 어느 목사는 선교를 자신을 위한 욕심의 유익으로
비자금을 만들고 선교는 자신의 사적인 여행이 되었으면서
선교 비를 강요하는 수단으로 지원자나 후원자 명단까지 발표하며 독촉한다.
선교는 선교지의 장기적인 계획으로 언어와 문화 등을 미리 습득하여
지혜롭고 효율적인, 조직의 역량을 판단하여 조직적으로 중단 없는
넉넉한 인적 물적 지원을 미리 기획하고
단기선교는 현지 선교사의 지원 역할을 해야 하는데,
어느 목사들과 장로들은 은퇴 후 선교사가 되거나 선교지로 간된다.
미리 장기간 계획을 하고 준비를 하여도 미흡한 환경에 육체도 거둥하기 힘들 때까지
기다려서 은퇴하고선 가서 무엇을 한다는 건가.
그리니 교회에 손을 내밀어 생활비로 사용하고 명분은 선교이니 거룩한
변명거리가 될지 모르나 은퇴목사라는 명예의 타이틀도 버리지 못하면서
자신의 그릇된 명분에 뭔 효율적인 선교가 되겠는가.
선교지 는 늙은 몸이 쉼을 얻는 휴양지인가 도피처 인가.
하기야 어느 사람들은 짧은 기간 선교지에 다녀와서 선교사, 목사, 뭔 모임의 장 등
마치 자신의 경력에 이력 거리를 만드는 이력서를 자랑하니,
현실을 바라보자.
교회는 내부적으로 잘못된 신앙관으로 세상의 질타의 대상이 된지 오래라
전도는 진전이 없고 남은 교인들마저 순수함을 잃은 교회를 떠나 교인은 줄었고,
세상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변화하겠다는 전도는
교회가 걸림돌이 된 암담한 현실을 직시하고
세상을 변화시킬 주체인 교회가 세상의 변화에 압박을 당하고
이제 교회는 세상과 등진,
세상으로부터 고립되었고 더 고립되어간다.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마치 현대교회는 근본의 바탕이 잘못 지어진 집 같다.
견고한 지반(地盤)에 터를 잡지 못하고 기초마저 튼튼하지 못한 집이  
얼마나 유지 되겠는가.
그러니 조그만 일에도 교회가 흔들리고 작은 사건에 교회가 날아갈 듯 하고
목사의 말 한마디에 교회가 이편저편으로 나누어져 모두 하나님 편이라
고함과 폭력이 난무하니 싸움이 소문이나 으레 교회는 싸우는 장소로
오래전에 세상에 인식되었고
목사의 부정으로 교회가 갈라지고 사라지는 일들이 일상이 되었으니
허약하다 못해 유지에 안간힘을 쓰는, 이제 병들어 신음하는 교회가 되었고
교회가 복음의 걸림돌이 된 이 기이한 상황을,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가 믿음의 단절된 이 현상을,
믿음을, 다음세대에 유산으로 남겨야 하는데
세대와 세대가 단절된 이 현실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면 당신의 믿음은 눈뜬 맹인이고
세상의 비난이 들리지 않는 다면
당신은 성령의 음성을 듣지 못하는 난청자 이고
그리고도 지도자라면, 당신은 믿는 자를 가장한 종교인이고
분별력이 애초에 없는 삯꾼일 뿐이다.
보라,
총체적으로 부패한 한국과 해외 교회와 단체의 모습을.
조금의 믿음이 있다면 조금의 신앙의 양심으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믿음의 작은 눈이 라도 바라보라.
이제 근본으로 돌아갈 때다.
이제 늦으면 유럽교회처럼 교회가 사라지고 미국교회처럼 노인만 남고
교회 건물은 세상 사람들의 조롱의 대상이 되다 이 마저 사라진다.
화려한 대형교회의 건물?
화려하고 거대한 만큼 교제를 막는 큰 콘크리트 덩어리 일 뿐이며
그 안에서 군중 속에 안정(安定)을 찾다 믿음을 잃어버리고
길을 잃어버리고 복음의 어그러진 길로 갔으며 가고 있다.
그리고도 대형교회라 선교를 위하여 거금의 선교비를 만든다는 말은
맘몬 니즘에 절은 자의 변명이고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교통을 막고
교회와 교회가 서로 교통하는 교통을 막은 대형교회의 모순을
외면한 자의 변명이다.
근본으로 돌아가자.
근본의 하나님의 의,
의를 알려면 공의(righteousness)를 알아야 하고
하나님의 뜻,
하나님의 의는, 공의는, 복음에 나타나서,
복음은 하나님의 의로 이루어졌고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한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 1:17]
하나님의 의, 공의를 알고 깨닫는 믿음은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시는 성령님의 인도로 믿음이 되며
오르지 의인, 하나님의 공의를 행하는 의인은
하나님의 뜻으로 사는 사람이 의인이며,
오르지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생활은
마땅히 하나님의 공의를 지켜야 할,
정의롭고 진실하고 공평하고 평등한 삶으로
세상의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규범과 상식을 초월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 ‘charity’을 간직한 그리스도인의 문화,
정신적이고 물질적인 가치관의 문화를 세우는 일,
정직하고 정의로운 그리스도인의 생활과 문화는
한국교회에서 이제 거의 다 사라졌기에
믿음, 믿음, 믿음하면서 믿음이 변절하여 종교 의식화 하였고
종교적인 자기 위안(慰安)도 못되면서 버릇처럼 ‘하나님의 영광’을 노래한다.
대체 무엇이 그리스도인의 가치관이란 말인가.
전도가, 선교만이 예수님의 지상명령이었나?

또한 이 구절은
사이비 세대주의자들, 대체신학을 주장하는 자들이 인용하는 근거의 구절로
잘못된 예수님의 재림과 선교관을 퍼트린 구절로
이들의 특징은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문자적인 것은 문자적, 상징적인 것은 상징적, 비유적인 것은 비유적,
계시적인 것은 계시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몽땅 다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그리스도의 천년 통치기간 동안 이스라엘의 땅과 국가,
성전 회복 등이 이루어져 성경의 약속들이 문자적으로
무조건 이루어진다고 본다.
세대주의 문제점은 성경을 비틀어서
예수님의 복음을 유대인이 거부함으로
이방교회가 생겨났다는 대체신학이
첫 번째 위험한 것은
‘하나님이 이처럼 세상을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다’ 는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사랑의 부인이라 복음의 어그러진 길이며
예수님이 말씀인 ‘내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기에 나로 말미암고는’ 는
누구든지 아버지께 올 자가 없다는,
예수님 말씀을 시인 하는 듯 하면서 복음 이전의 구약으로 돌아가 부인하기에 복음을,
전 인류를 위한 권능을 부인하고 비틀어
복음의 능력을 감소시킴은 물론
땅 끝까지 복음이 전파되면 오신다는 성경 구절을 이스라엘에 국한(局限) 시켜
종당에는 이스라엘을 회복시킨다는
제한된 교회관은 두 번째 위험한 사이비의 주장일 뿐이다.
또 아브라함을 통한 유대적인 이스라엘 왕국의 회복은
요한 계시록을 전 세계의 교회가 아닌 유대인을 만을 위한 계시록이라
이방인 교회는 곁들어 구원 받는 존재일 뿐이라
하나님은 이스라엘만 사랑하시는 하나님이 된다.
그토록 하나님은 이스라엘만 선택한
이스라엘만은 단념할 수 없으신 편애를 가지신 편협하신 하나님이신가?
그렇다면 구약의 이스라엘인들은 풍요와 평화만을 누렸어야 하지 않겠는가?
결국 이스라엘의 패악으로 나라가 없어지고 민족이 흩어지는 고통을 당하였는데
이를 부정할 수 있는가.
이스라엘만 선택된, 일부의 국가와 민족을 위한 비틀린 복음,
그건 복음이 아니다.
다시 보면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증인이 되리라는 말씀이지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오신다는 말씀도 아니고
‘uttermost part of the earth’ 최대한 넓게 복음이 세상에 알려진다는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승천하시기 전에 제자들에게 한 말씀이고
성령이 임하면 권능을 받는 다는 말씀은
이 권능 ‘power’ 는 누구나 받지만 모두 같은 ‘power’ 가 아니라
믿음의 분량에 따라서 약하고 강한 능력이고
power 의 분량이, 믿음의 분량이 되고
그래서 예수님께서 분부한 ‘모든 것을 지키고 가르치는’ 양과 비례한다.
[예수께서 나아와 말씀하여 이르시되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었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마태복음 28:18-2]
분부한 모든 걸 가르치고 행하라 시는 말씀은 명령이다.
Teaching them to observe all things whatsoever
I have commanded you.
이 말씀을 자세히 보면
구약의 대표적인 권능인 이사야 33:13-16절 과 같이
아버지, 아들, 성령이 포함된 말씀이고
예수님께서 받은, 세상의 창조자 이신 하나님으로 부터의 권세,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었으니’
이제는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의 권세
그 권세로 모든 민족을 제자를 삼으시라는 말씀은,
그 권세로, 성령님께 받은 권세로 세례를 베푸는,
성령님이 세례를 베푸는,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이름은 히브리어 ‘쉠 shem’ 으로 사람이나 사물 등 다른 것과 구별하는
표시로 세상과 구별된, 모든 우상과 구별되신
하나님 아버지의 거룩하신 이름과
주 그리스도 예수님의 거룩하신 이름과
거룩하신 성령님의 거룩하신 이름에 합당한 ‘이름’ 으로,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죄로 죽고 다시 새 명명을 얻은 자가
부르심에 합당히 응한 자가
부르심에 합당한 자가
거룩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세례는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옛사람을 죄를 죽이는 회개의 상징임으로
회개하고 세례를 받고 그 죄를,
성령님이 임하시면 불같이 태워버리는 권능을 받기에,
성령님의 권능을 받기의 시작이라 할 수 있음은,
권능은 증인이 되기 위한 능력(the power of the Holy Spirit)의 시작이라
거룩하신 이름을 부르기에 합당한 부르심을 받은 자의 능력이다.
그럼 이제 권능을 받은
베드로와 요한이 나면서 못 걷게 된 이를 향해 한 말을 보자.
[베드로가 이르되 은과 금은 내게 없거니와 내게 있는 이것을 주노니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어나 걸으라 하고
오른손을 잡아 일으키니 발과 발목이 곧 힘을 얻고  사도행전 3:7]
베드로는 은과 금이 없지만
내게 있는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I have give I thee: In the name of Jesus Christ of Nazareth.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날 수 있느냐는 천한 나사렛에서
낮아지고 낮아지셔서 우리와 같은 인간으로 오셔서 진리를 전하여 주시고 삶의 길을
보여주신 구세주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 이름,
우리의 죄를 대신하여 모진 고난을 받으시고 십자가에 돌아가신
그 고귀하고 숭고한 사랑 ‘charity’ 의 이름,
그리고 부활하신 권능의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베드로에게 은과 금은 없지만 베드로의 가슴에 간직한 사랑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성령님께서 함께 하시며 주시는 권능(the power of the Holy Spirit)과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의 증인으로 가슴에 새겨진 사랑의
힘(power of charity)으로 베드로의 생명과 같은 이름,
그 이름을 주노니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어나 걸으라’

[그러나 하나님의 견고한 터는 섰으니 인침이 일렀으되
주께서 자기 백성을 아신다 하며 또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마다
불의에서 떠날지어다 하였느니라  디모데후서 2:19]


경이롭고 놀라운 현대 건축물들!


Wonders of Modern Architecture

Cybertecture Egg - Mumbai, India

modern architecture


Grand Lisboa - Macao, China

modern architecture


Bullring - Birmingham, England

modern architecture


BMW Welt - Munich, Germany

modern architecture


Experience Music Project - Seattle, USA

modern architecture


Mumbai University ASK Foundation Convention Center

modern architecture


The Sage - Gateshead, England

modern architecture


Air Force Academy - Chapel, Colorado

modern architecture


The Universum Science Museum - Bremen, Germany

modern architecture


The Fuji Television Building - Tokyo, Japan

modern architecture


The Gherkin Building - London, England

modern architecture


Lotus Temple - Delhi, India

modern architecture


National Theatre - Beijing, China

modern architecture


Banknote Building - Kaunas, Lithunania

modern architecture


Le Palais Bulles - Cannes, France

modern architecture


Tenerife Concert Hall - Canary Islands, Spain

modern architecture


The Conch Shell House - Isla Mujeres, Mexico

modern architecture


The Torre Galatea - Figueres, Spain

modern architecture


The Crooked House - Sopot, Poland

modern architecture


Ceramic House - Columbia

modern architecture


Cathedral of Brasilia - Brazil

modern architecture


Dome House - Florida, USA

modern architecture


Earth House - Lostorf Switzerland

modern architecture


Eden Project - Cornwall, England

modern architecture


Chapel In The Rock - Arizona, USA

modern architecture


Druzhba Holiday Center - Yalta, Ukraine

modern architecture


Ferdinand Cheval‍ Palace - France

modern architecture

Olympic Stadium - Montreal, Canada

modern architecture


The National Library - Minsk, Belarus

modern architecture


Wonderworks - Pigeon Forge, Tennessee, USA

modern architecture


Steam World Museum - Gramado, Brazil

modern architecture


Piano and Violin-Shaped Building - Huainan, China

modern architecture


Great Mosque of Djenne - Mali

modern architecture


Elephant Building - Bangkok, Thailand

modern architecture


Dancing Building - Prague, Czech Republic

modern architecture


Kunzthaus - Graz, Austria

modern architecture


La Tete au Carre - Nice, France

modern architecture


Porto Stone House - Fafe Mountains, Portugal

modern architecture


Ripley's Believe It Or Not - Ontario, Canada

modern architecture


Snail House - Sofia, Bulgaria

modern architecture

 


House Attack - Vienna, Austria

modern architecture


Hang Nga Guesthouse - Vietnam

modern architecture


Habitat 67 - Montreal, Canada

modern architecture


Wooden Gagster House - Anchangelsk, Russia

modern architecture

Cubic Houses - Rotterdam, Netherlands

modern architecture


Solar Furnace - Odeillo, France

modern architecture


The Flintstone House - Hillsborough, California

modern architecture


Wilkinson Residence - Portland, Oregon

modern architecture


Bunker House - Chicago, Illinois

modern architecture

 

▼Saddle the Wind



'마음을 열어주는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해변 남태평양. .  (0) 2016.04.28
水中 호텔  (0) 2016.04.26
○존재하는 줄 몰랐던 이상한 동물들○  (0) 2016.04.04
전세계 경이로운 사진  (0) 2016.04.03
지상 최고의 멋진풍경!  (0) 2016.03.24

아멘의 뜻

Rev. Dr. R. Dean Anderson (Brief Biography)
trans. by Seok-Jun Yun



아주 짧은 단어인 ‘아멘’이라는 말의 성경 속에서의 용례에 관한 내 짧은 연구의 동기는 우리 교회들의 예전(liturgy) 변화에 관한 진행되고 있는 토론 때문이다. 최근 베르켈 총회(Synod at Berkel)에서 있었던 토론의 결과로 이 문제는 또한 카트윅(Katwijk) 지역과 발켄부르그(Valkenburg) 지역 회중들에게 논의의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 나는 이 연구에 앞서서 여기 소개된 결론에 도달할 것이라고 생각지 않았었다는 점을 고백해야겠다. 또한 나는 이 짧은 글이 반드시 이 문제에 대한 마지막 논의가 아닐 것이라는 사실을 덧붙여야겠다. 하지만 나는 분명히 내가 이 문제에 대한 생각을 불러 일으켰다고 믿는다.






‘아멘’의 의미


‘아멘’이라는 말은 히브리어로부터 왔는데, 다양한 동사형을 가지고 있다: 지지하다(to support), 충성하다(to be loyal), 확신하다(to be certain), 믿음을 나타내다(to place faith in). 같은 의미로 ‘아멘’은 보통 ‘진실로’(truly)로 번역된다.1)


이 단어가 (헬라어) 신약성경에서는 일반적으로 번역되지 않은 채로 나타난다는 것은 주목해 볼 일이다. 헬라어를 말하던 그리스도 이후의 첫 세기의 교회들은 그들이 쉽게 번역할 수 없었던 히브리어 단어들과 맞닥뜨리곤 했다. 물론 ‘아멘’이라는 단어는 분명 새 교회가 단어의 원래 모양을 그대로 사용했던 유일한 히브리어 단어는 아니었다. ‘아바’(=father)라는 단어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비록 이 단어는 언제나 번역이 곧 뒤따르는 방식으로 사용되었지만(막14:36;롬8:15;갈4:6). ‘아멘’이란 단어에 있어서는 이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누가는 종종 이 짧은 단어가 주 예수님께 사용될 때 매우 특별한 방식으로 이를 번역한다; 말하자면, 문장의 첫 부분에서 그의 말씀들을 강조하기 위해서 등이다. 그리고 누가는 때때로 그 번역을 사용한다. ‘진실로(truly)’ 혹은 ‘참으로(verily)’ 등(눅4:25;9:27;12:44;21:3). 더 나아가 계시록 1:7과 고후1:20, 그리고 아마도 눅12:5에서 ‘아멘’은 ‘예스(yes)’(=even so : 정확히 그러하다)로 번역되었다. 셉투아진트(주 예수님의 시대에 통용되던 구약의 헬라어 번역본)에서는 외경을 제외하고는 ‘아멘’이라는 단어가 번역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곳은 단지 세 곳 뿐이다(대하16:36;느5:13;8:6)2)


이 단어는 한번 ‘진실로(truly)’로 번역되었고 다른 모든 곳에서는 ‘그렇게 되기를(may it be so)’로 번역되었다.3) 헬라어의 매우 문자적인 번역인 아퀼라본(주후 2세기)은 언제나 ‘아멘’을 ‘진실로(truly)’로 번역한다.4)






‘그렇게 되기를(may it be so)’이라는 번역은 구약성경 자체에서 지지를 얻고 있다. ‘아멘’이 사용된 곳에는 ‘주께서 이같이 하옵소서(may the Lord do so)’ 라는 말이 뒤따르고 있기 때문이다(왕상1:36;렘28:6)


‘아멘’의 의미에 대한 이러한 지시들 뿐 아니라 또한 우리는 이 단어의 용례도 살펴보아야 한다. 어떤 단어가 사용된 본문은 그 의미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구약성경에서의 사용


구약성경에서 우리를 놀라게 하는 첫 번째 사실은 “아멘”이라는 말의 제한된 사용이다. 이 말은 단지 30회만 사용되었는데, 다섯 번은 복수 단어로(double word) 사용되었기 때문에 실제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스물 다섯번 뿐이다. 이 단어의 사용은 네 표제로 묶을 수 있는데 앞의 두 표제가 훨씬 더 중요한 것이다.








1. 저주 표현에 대한 수납으로서(16회)


제사장들(또는 다른 공식적인 사자)이 하나님의 편에서 저주문구(curse-formula)를 발할 시에 수신자(들)이 그에 대한 결과를 승복할 때 “아멘”이라는 말이 동반된다. 민5:22;신27:15-26;느5:13;렘11:5를 보라




2. 하나님께 대한 찬양의 표현에 대한 동의로서(10회)


“아멘”은 또한 ‘바룩(찬양하다)’이라는 문구 다음에 그 문구를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에 의해서 사용되기도 하였다(시106:48;대상16:36;느8:6). 이 찬양문구의 형태는 표준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언제나 바룩이라는 단어와 함께 시작된다: “축복하라/찬양하라”로 번역된다.




3. 예언이나, 다른 사람에 의해 공표된 내용에 대한 동의로서(2회)


렘28:6에서 예레미야는 하나냐의 (거짓)예언에 대해 (빈정거리는 투로) 동의를 표할 때 그 단어를 사용한다: “아멘! 여호와는 이같이 하옵소서.” 왕상1:36에서 브나야는 솔로몬이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을 것이라는 다윗의 공표에 대해 동의를 표한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아멘! 내 주 왕의 하나님 여호와께서도 이렇게 말씀하시기를 원하오며.” 이 두 본문 모두에서 아멘이라는 단어의 해석은 우리가 예외적인 상황을 다루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4. 하나님의 독특성으로서


사65:16에서 히브리어 본문은 “아멘의 하나님(the God of (the) Amen)”이라는 말을 두 번 사용한다. 어떤 이들은 이 말이 해석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그 본문을 “진리의 하나님(the God of turth)”으로 고쳐서 사용한다.5)






동일하게 중요한 것으로서 우리가 “아멘”이라는 단어를 찾는 본문에서는 그 단어가 오히려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두 가지 점이 주목할 만하다. 첫째, 비록 “아멘”이라는 말이 자주 저주문구를 수납하는 데에 중요하게 사용되었지만, 이 말은 결코 축복을 수납하는 데는 사용되지 않았다! 둘째 “아멘”은 결코 기도를 맺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신약성경에서의 사용


전술했던 번역된 경우를 별개로 하고 “아멘”이라는 단어는 신약성경에서 131회 사용되었다(네슬/알란트 27판에 대한 통계: 신약성경의 여러 헬라어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 중 하나-역자주). 그러나 이 숫자는 신뢰하기 어려운 것일 수도 있다. 103번이라는 횟수는 대개 우리 주 예수님께서 스스로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사용하신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자주 이 단어로 문장을 시작하시거나 자신이 말씀하신 것에 대한 강조를 둘 때 이 말을 사용하신다(예를 들면 마7:28-29).




지금 우리가 다루고 있는 “아멘”이라는 단어의 구문적인 사용법에 대한 연구에서는 예수님의 화법에 대한 부분까지 다 다룰 수는 없다.6)


앞에서 이 단어가 28번 사용되었다고 한 내용을 따라서 우리는 구약성경에서 사용했던 것과 같은 카테고리를 적용해 볼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다.








1. 저주 표현에 대한 수납으로서


신약성경에는 저주 문구에 대한 수납의 예가 없다. 이 항목은 따라서 적절하지 않다.




2. 하나님께 대한 찬양의 표현에 대한 동의로서(22회)


찬양의 진술은(때때로 하지만 늘 그런 것은 아닌 것으로서, 구약 성경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어형으로) 자주 그것을 듣는 사람들(고전14:16;고후1:20;계5:14;7:12;19:4) 뿐 아니라 표현하는 사람에 의해 “아멘”으로 끝난다(롬1:25;9:5;11:36;벧전4:11;5:11;벧후3:18;유1:25;계1:6;7:12). 이미 인용된 본문들에 더해서 마6:13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많은 사본들에 따르면 찬양의 표현(“아멘”이 따르는)들이 주님의 기도를 끝맺는다.




3. 예언이나, 다른 사람에 의해 공표된 내용에 대한 동의로서(2회)


계1:7과 22:20에서 우리는 예언/공표(announcement)가 아멘으로 끝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본문에서 아멘은 공포자 자신인 요한에 의해 표현되고 있다. 두 번째 본문에서 요한은 아멘을 주 예수님의 말씀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한다. 계1:7에서 “아멘”이란느 단어는 “예스(yes)”라는 번역이 부가되어 사용되었다. 계22:20에서 요한은 그가 동의하는 내용에 대해 말씀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구약성경에서처럼 여기에서도 역시 이는 “아멘”이라는 단어의 일상용례 이상의 것을 말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4. 하나님의 독특성으로서


위에서 논의했던 이사야 본문에서는 “아멘(the Amen)”이 예수 그리스도의 표제로 사용된(아멘이신 그리스도-역자주) 곳인 계3:14와 같은 방식으로 나타난다.






여기에 부가하여 본 항목에서는 두 가지를 더 더할 수 있다.




5. 축복문구에 대한 확증으로서


축복문구(인사말)는 종종 축복을 전하는 사람에 의해 “아멘”으로 끝나는 것으로 확립되었다(cf. 롬15:33;갈6:18). 많은 사본들 역시 다음의 본문들에 “아멘”을 더하고 있다: 롬16:24;고전16:24;고후13:14;빌4:23;골4:18;살전5:28;살후3:18;딤후4:22;딛3:15;몬1:25;히13:25;벧전5:14;계22:21).


이들 본문들이 모두 편지의 말미에(혹은 끝이 다되어서) 있다는 사실로 인해 그것들이 전술했던 카테고리와 별개의 것이냐는 것을 결정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그런 어려움은 편지의 서두에서 축복(예를 들면 롬1:7;고전1:3 등)이 결코 “아멘”으로 끝나는 적이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더 심각해진다!




6. 결론으로서


이전 항목에서 본 바와 같이 “아멘”이라는 말은 결론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요한의 첫 두 편지의 많은 사본들에서도 역시 그렇게 사용되었다(전술한 찬양과 축복의 말들 없이). 이런 예는 막16:9와 같이 짧게 끝나는 복음서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다. 아멘이라는 단어의 이러한 사용은 초대기독교회에서 빈번한 것이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멘”은 이야기나 편지의 끝을 알리는 역할을 한 것이다.








결 론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아멘”이라는 단어는 하나님께 대한 찬양을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듣는 이에게 그러할 뿐 아니라 말하는 이에게서도 그러한 것이다.




“아멘”이라는 단어가 성경에서 결코 스스로에게 축복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된 적이 없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7) 모든 점들을 고려해 볼 때 신약성경 시대에 축복문구 뒤에 공식적인 표현으로서 “아멘”이 있었다는 증거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바울의 서신들에서의 “아멘”과 관련된 이론은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나는 이러한 주장이 불손하며 온당치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만약 어떤 사람이 너무 친절해서 나에 대해 좋은 어떤 이야기를 했을 때, “아멘, 그것은 진실이며 확실합니다!”라고 반응을 보였다면 그것은 매우 건방진 태도인 것이다. 이는 분명히 하나님으로부터 축복을 받는 데에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실례로 점점 더 대중화 되어가고 있는 것으로서, 예배시간의 끝에 축복(blessing: 우리식으로 말하자면 ‘축도’이다-역자주) 후에 전 회중이 “아멘”이라고 말하는 것은 거절되어야만 한다. 만약 “아멘”이 축복 이후에 말해져야 한다면 그것은 목사/장로에 의해서 위의 카테고리 5에서의 예에서 본 것처럼 일종의 결론으로서 행해져야 한다.




동일하게 주목할만한 사실은 “아멘”이 성경에서는 어떠한 기도의 결론으로서도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주기도에서 “아멘”은 기도를 결론짓는 찬양의 표현임에 틀림없다. 나는 기도의 결론으로서 “아멘”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된 것이 어느 세기부터인지 알지 못한다.8) 우리에게 있어 그것은 우리가 기도할 때 눈을 감는 것과 같은 실제적인 유익이 있다. 성경 시대의 사람들은 기도할 때 팔을 뻗은 채로 하늘을 향해 그들의 눈을 들고 기도했다.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기도가 끝났을 때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사람들이 기도할 때 언제부터 눈을 감기 시작했는지 알아내기는 힘들다.




초대 기독교회때는 대부분의 기도가 “아멘”을 동반한 찬양의 표현으로 마쳐졌다(주님의 기도가 그 예이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에게도 가능한 좋은 아이디어이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찬양의 표현으로서 우리의 기도를 끝맺는 것은 적절할 것이다. “아멘”으로서 맺는 것은 동일하게 부요한 의미를 받게 한다.




또한 나는 우리 예전에 관하여 몇 가지 주목할 점을 말하고자 한다. 만약에 우리를 향한 축복 이후에 “아멘”을 말한다면 그것은 부적절한 것이다. 또한 예배의 부름(votum) 이후에 “아멘”이라고 하는 것 역시 그러하다. 예배의 부름(‘우리의 도움은 야웨의 이름에 있도다....’)은 목사나 장로가 회중의 편에서 표현하는 것이다. 회중은 그의 선하심과 은혜가 우리의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전 회중이 예배부름을 소리내어 말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예배의 초반에 인사(greeting) 이후에 나타나는 “아멘”의 표현 역시 지지하는 성경적 예는 없다. 그것이 나타날 때는 5번 항목에서 말한 내용의 결론으로서이다. 확실히, 회중에 의해 표현되는 것은 안된다. 그 인사는 회중 자신을 위해 의도된 축복을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예전에서는 주님을 찬양하는 표현을 위한 자리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는 우리가 우리의 예배 속에서 주님을 찬양하는 표현을 발견하지 못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시편찬송이나 기도등을 생각해 보라). 단지 예전에서 할당된 부분이 없다는 뜻이다. 이는 예수님 시대 어귀의 회당예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그들은 그러한 찬양의 표현으로 시작했다. 이러한 기독교적 형식으로서의 찬양문구의 사용은 그들의 편지에서 이런 식으로 종종 시작했던 사도들에게서 가져온 것이다(cf. 고후1:3-5;엡1:3-14;벧전1:3-5). 가장 잘 알려진 신약성경의 바룩(찬양하다) 문구는 아마도 소위 스가랴의 노래(눅1:68-75)의 첫 절반부일 것이다.9)



나는 예전 담당자들에게 찬양 문구(가능하다면 전술한 본문들로부터)가 인사 이후에 따라 나오도록 제안하기를 원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우리는 사도들에 의해 사용되었고, 시편에 자주 언급된 유대 회당 예전의 한 부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예를 들면 시72:18-18; 144:1-2 등). 만약에 이 요소가 예전 속에서 빠진 채로 유지된다면, 찬양의 표현과 함께 설교를 마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전 회중이 그와 같은 찬양의 표현으로서 자신들의 “아멘”으로 예배를 마치는 것은 매우 적절할 것이다. 위에 나열된 본문들은 신약에서 뿐만 아니라 구약에서도 전 회중이 공적으로 그들의 “아멘”을 표현하는 데에 보편적인 것들이었다.






각 주




1) 나는 같은 어근으로부터 파생된 다른 단어들의 용례가 단어의 의미를 밝혀주는데 필수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고 싶지는 않다는 점을 주목해주기 바란다. 이러한 관점에 관하여는 J. Barr, Semantics of Biblical Language [OUP, 1961] 100-106. 를 보라




2) 정확히 하자면 “아멘”이라는 단어가 외경들에서는 번역되지 않은 채 6회 사용되었다.




3) 각각 ‘알레뚜스’(렘35:6, MT 28:6)와 ‘게노이토’




4) ‘페피스투메누스’




5) 제시된 교정은 단지 오리지널 본문에는 없었던 모음(원 히브리어 본문에는 모음이 없음-역자주)을 설정할 때만 가능하다. “ameen” 대신 “omen”으로 읽는 것이 주장되었다. 사25:1에서 그 단어 omen(“truth”)이 사용되었지만 그것은 하팍스(이는 성경에서 딱 한번만 사용된 단어를 말함)이다. 게다가 셉투아진트와 아퀼라 모두 사25장에서 omen 대신에 ameen으로 읽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만 한다.




6) 불행히도 이 “아멘”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대부분의 성경번역에서 위장되어 있다. 심지어 우리에게는 “아멘, 아멘,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여기 아멘은 한글성경에서는 ‘진실로 진실로’ 로 번역되어 있다-역자주) 라는 말은 이상하게 들린다. 우리는 복음서의 헬라 독자들에게조차 낯설게 들렸었을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만 한다! 비록 이 비일상적인 표현이 오직 주 예수님에게서만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예수께서 비유를 말씀하시는 중에 다른 이들의 입에도 그 말을 넣으려 하셨다는 사실에 주목하는 것은 흥미롭다(예를 들어 마25:12를 보라).




7) “아멘”이 사용된 본문들(롬15:33;16:24;갈6:18등)에서 바울은 이 “아멘”을 말한 회중들을 생각하고 있다는 주장들이 때때로 제기되었다. 그러나 바울은 그의 편지에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결코 이를 가리키고 있지 않다. 이것은 가설일 뿐이다. 이 가설을 가능하게 만들려면 먼저, 축복이 주어진 후에 “아멘”이 공동적으로 말해졌어야만 한다는 확립된 실례의 존재를 설명해야만 한다. 그것은 쉽지 않다. 우리가 첫 세기에 관하여 가지고 있는 유일한 정보는 고린도전서뿐이다. 14:16은 찬양문구(주를 축복하다/찬양하다...) 이후에 공동적 “아멘”이 말해진 예로서 우리가 알고 있는 본문이다. AD2세기로부터(적어도 로마시대에는 그러했다. 하지만 또한 Dionys.Alex. in Eus. HE. 7.9.4도 보라) 우리는 주의 만찬예식(Just. 1 Apol. 65.3)에서 감사 기도의 끝에 찬양문구 후에 공동적 “아멘”이 말해졌다는 것을 알고 있다.



우리는 예배 중의 “아멘”과 관련된 이 세기로부터의 아무런 정보도 갖고 있지 않다. 축복문구 뒤에 공동적 “아멘”을 말하는 실례는 AD2세기 중엽 경 알렉산드리아에 있던 큰 회당의 예배에서 나타난다(Tosefta, Sukka 4.6). 훨씬 뒤의 자료인 바빌로니안 탈무드(AD8세기)로부터 우리는 “아멘”이 아론적 축복의 세 부분들의 각각 이후에 공동적으로 말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Sota 39b - AD3세기 경의 유대인들은 미쉬나로부터 추론된 것으로 보이는 축복문구 뒤에 “아멘”을 말하는 것에 대해 더 이상 어떠한 반대도 느끼지 않았다, Sota 7.5). BC 3세기 경에 설립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사해 근처의 쿰란 지역에 있었던 작은 금욕적 유대 공동체에서는 또한 공동적 “아멘”을 말한 예가 존재했다. “아멘”과 같은 말은 그들의 언약 의식에서 축복과 저주 후에 말해졌다. 그것은 신명기 27장의 모델에서 따온 것이다(1QS 1.16ff). 이 “아멘”이 단지 예식의 끝에만 말해진 것인지(축복 뒤에 나오는 저주의 이후에) 혹은 축복의 선언 후에도 곧바로 말해진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8) 내가 알고 있는 가장 최초의 예는 사도적 책인 토빗8:8에서이다.




9) 유대적 실제를 위해서는 미쉬나에 관한 Berakoth의 논문을 보라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가져온 곳: 생명나무 쉼터/한아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