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은 지금의 한강처럼 조선시대 서울의 도심부를 관통하는 중요한 도시하천이었다. 조선의 수도로 정해지기 이전부터 흐르고 있었다.
서울이 조선의 수도로 정해지기 전 청계천은 자연 상태의 하천이었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서울의 지리적 특성상 상대적으로 지대가 낮은 도성 한가운데로 물길이 모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조선왕조가 도성 안에 있는 수로를 정비하기 전에 이미 자연스럽게 물길이 형성되어 있었다.

서울의 기후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봄·가을에는 건조하고 여름에는 고온다습 하였다. 따라서 청계천은 비가 적은 봄, 가을은 대부분 말라있는 건천 (乾川)이었던 반면,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철 우기에는 조금만 비가와도 물이 넘쳐 홍수가 날 정도로 건기, 우기에 따라 유량의 변화가 심하였다.
더구나 청계천은 도심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었으며, 주변에는 시전행랑과 민가가 밀집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비가 많이 와서 물이 넘치면 가옥이 침수되거나 다리가 유실되고 익사자가 발생하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따라서 조선 초기 도성건설사업과 함께 배수를 위한 물길을 만드는 일은 매우 중요하고 큰 사업이었다. 개천에 대한 정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태종 때부터였다. 태종은 즉위 초인 1406년부터 1407년까지 자연 상태에 있었던 하천의 바닥을 쳐내서 넓히고, 양안에 둑을 쌓는 등 몇 차례에 걸친 정비로 하천의 모습을 만들어갔다. 그러나 이것은 완전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큰비가 올 때마다 피해는 계속되었다.

마침내 1411년(태종11) 12월 하천을 정비하기 위한 임시기구로 개천도감(開渠都監)를 설치하고, 다음 해인 1412년(태종12) 1월 15일부터 2월 15일까지 모두 52,800명의 인부를 투입하여 대대적인 공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하천의 양안을 돌로 쌓고, 광통교, 혜정교 등 다리를 돌다리로 만들었다. 개천(開川)이라는 말은 내를 파내다라는 의미로 자연상태의 하천을 정비하는 토목공사의 이름이었는데, 이 때의 개천 공사를 계기로 지금의 청계천을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되었다.

태종때 개천공사가 주로 개천 본류에 대한 정비였다면, 세종은 지천(支川)과 작은 세천(細川)의 정비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종로 남북 쪽으로 늘어선 시전행랑(市廛行廊) 뒤편에 도랑을 파서 물길을 하천 하류에 바로 연결시켰다. 이것은 지천의 물이 한꺼번에 개천 상류로 몰려들어 넘쳐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심의 홍수를 예방할 수 있었다

1441년(세종 23)에는 마전교(馬前橋) 서쪽 수중(水中)에 표석을 세웠다.

이 표석에 척(尺)·촌(寸)·분(分) 등 눈금을 기둥 위에 새겨,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수표(水標)이다. 수표는 개천의 수위를 계수화 하여 측정함으로써 사전에 홍수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세종때 주목할 만한 사항은 청계천의 성격을 도심의 생활하천으로 규정하였다는 것이다. 서울을 조선의 수도로 정할 때 풍수학상으로 서울 둘러싸고 있는 외수(外水) 한강이 동에서 서로 흐르는 것에 대응하여 도성 한가운데를 흐르는 내수(內水) 청계천이 한강과는 반대로 서에서 동으로 흐르고 있다는 점이 상당히 고려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는 도성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었고, 오늘날과 같은 하수도 시설이 없었던 당시로서 청계천에는 온갖 쓰레기와 오물들이 흘러들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청계천의 성격을 두고 풍수학상의 명당수로서 늘 깨끗하게 유지해야한다는 명분론적 주장과 도성에는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어 더러운 것이 많이 생기므로 이것을 배출할 하천이 있어야 한다는 현실적 주장이 맞서고 있었다. 이 논쟁에서 세종이 후자의 주장을 받아들임으로써 청계천은 생활하천으로 결정되었다. 이로써 청계천은 조선왕조 500년 동안 도성에서 배출되는 많은 생활쓰레기를 씻어내는 하수도로서 기능을 함으로써 도성 전체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근대화시기 도시로 유입된 빈민들은 이곳에 판자집을 짓고 살기시작하였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 수많은 피난민들이 이곳에 정착하게 되었다. 청계천에서 중랑천 일대는 대규모 판자집단지가 조성(?)되면서 수많은 생활하수들이 쏟아져나왔고 이러한 판자촌들은 청계천 복개후 70년대까지 철거가 되었다. 여기서 쫒겨나게된 사람들이 성남등으로 이사를 가서 새로운 도시가 형성되었다.

1874A2194B68172850AF1D


1363DC194B67F4C105E374

▲살곶이다리

1563DC194B67F4C20608D6

▲60년대 청계 판자촌 재현. 용두동 근처

1763DC194B67F4C3076EF8


2063DC194B67F4C5088E97

▲냄새나는 천변 앞에 창을 두고 살았을듯.

1263DC194B67F4C60916E2


1263DC194B67F4C80A89E3

▲청계고가도로 교각. 복원을 하며 남겨두었다.

1263DC194B67F4CA0B21E4

▲청계천의 역사, 복원, 생태등을 전시해놓은 청계천문화관

2074A2194B68172B523D99



1663DC194B67F4CC0D3113

▲영조연간 오간수문앞 준천공사. 왕이 직접 공사감독을 하였다니 일하는 사람 불편했겠다.

2063DC194B67F4CF0EC0D9

▲영조연간 오간수문앞 준천공사

2063DC194B67F4D00FF283


1263DC194B67F4D310ABEE

▲현재도 남아있는 광통교.
태종은 정릉에 있던 병풍석을 거꾸로 다리 교각으로 쓰고 사람들이 밟고 다니게 했다.

1463DC194B67F4D411B62B


1663DC194B67F4D5126276


132DDF134B6676435A0F15

▲수표교(1930). 현재는 장충단공원에 있음. 빗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수표의 모습

1963DC194B67F4D713897F


1163DC194B67F4D8143A8D


1463DC194B67F4CB0C2F48

▲50년대 청계천 풍경

142DDF134B6676435BF0F8


1663DC194B67F4DD174744


1163DC194B67F4DA15B6DB

▲청계천 염색공장

1363DC194B67F4DB1651A3



1863DC194B67F4DE18F7A0

▲동대문인근 복개모습

2063DC194B67F4DF190FF0

▲60년대 후반 판자촌 철거

162DDF134B6676445C7653

▲일제강점기 오간수문

1774A2194B68172F5512FA


1863DC194B67F4E720C7F8

▲1955년 동대문운동장인근


152DDF134B66764359C4ED

▲1904년 청계천 빨래터

1463DC194B67F4E41DF697

▲1958년 복개공사

1663DC194B67F4E51E55B9

▲1950 장통교

1863DC194B67F4E61FD871

▲1930 동십자각 옆으로 옮긴 광화문앞. 현재 삼청동쪽의 지천모습

2063DC194B67F4EA2257F8

▲1970 마장동 화재. 철거민을 쫒기 위해 누군가 불을 놓았던 듯

1263DC194B67F4E31C857B


1263DC194B67F4EB23CD37

▲1972 청계고가도로와 판자촌

1463DC194B67F4EC24D8E6

▲복개된 지하모습.

1663DC194B67F4ED2504C1

▲청계고가도로 모습

1963DC194B67F4EF26F79F

▲세운상가 인근

11791D194B681509861A01

▲졸속적인 복원모습.. 공사기간 단축을 위해 둑을 깊이 파고 콘크리트를 넢은뒤 흙을 위에 덮어놓았다.

1774A2194B6817264FBE74

▲전태일 열사 흉상. 전태일 열사가 분신한 현장.

1574A2194B6817254EB084


1274A2194B68172C536A98


1574A2194B68172E541710



1874A2194B681731565C42

▲정조 능행반차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