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본주의적 구원은?
구원론 2015. 7. 20. 02:08
개혁신학이 강조하는 신본주의적 구원은 하나님 중심의 존재로 변화하는 축복의 사건 총체적 복음 관점에서 구원의 축복 바라봐야…‘돌이킴’ 통한 삶의 결단 계속 추구해야 1.개혁신학의 가르침을 따라 신본주의적 구원관으로 나아가야 한다.
예수님을 영접하고 이 세상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어지는 끊임없는 도전들 가운데 하나는, 신본주의적 신앙을 버리고 인 본주의적 신앙으로 들어가려는 유혹들에 직면케 되는 일이다.
우리는 우리의 신앙이나 구원의 의미를 자기 자신의 어떠한 개인적인 욕구나 세속적인 욕심을 채우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시키는 인본주의적(man-centered) 접근방식으로 떨어지기 쉽다. 그러나, 성경적 신앙은 우리를 자기 중심적 태도에서 벗어나서 하나님께로 향한 삶으로 나아가게 한다.
개혁신학은 바로 그 점을 강조한다. 신앙이란 나의 욕심을 채우기 위한 도구로서가 아니라, 그것으로 주님께 영광돌리는 삶의 원동력으로 삼게하는 신본주의적(God- centered) 접근방식이 개혁신학의 주요 가르침들 중의 하나인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그리스도의 구원 안에서 주어지는 회복의 역사는 온 우주 만물까지도 그 분의 새로운 통치로 말미암아 주어지는 변화를 경험하게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우리는 성경이 말하는 구원을 ‘총체적 구원’이라고, 그리고 성경이 말하는 복음을 ‘총체적 복음’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우리는 쉽게 이원론적인 신앙태도로 전락하게 되며, 결국 그 나머지 영역들 속에서는 여전히 과거와 다를 바 없는 세속적 삶의 방식을 따라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구원 사건 안에서 주어지는 ‘영적 축복들’을 성경적으로 검토해볼 때, 그것이 좀 더 포괄적인 변화들에로까지 지향하고 있는 사건임을, 그래서 성경이 말하는 구원이 총체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
중생은 신약성경에서 크게 두 가지의 이미지로써 표현되고 있다. 하나는 하나님의 창조 이미지이고, 다른 하나는 부활의 이미지이다. 하나님의 창조사역의 이미지로서 중생의 역사를 제시해주는 말씀으로는 고린도후서 5장 17절과 마태복음 19장 28절을 들 수 있다.
전자의 성구에서 중생자는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지어진 피조물로서 묘사된다. 중생이란 하나님의 처음 창조와는 구별되는, 마지막 때에 주어진 하나님의 재창조의 역사를 가리키는 사건인 것이다. 죄로 말미암아 왜곡되어진, 그리고 죄의 영향 아래 놓인 온 세상을 새롭게 회복시키시는 하나님의 새로운 재창조의 역사에 동참하는 사건으로서 중생이다.
(“만물이 새롭게되어”) 하나님의 재창조의 역사의 첫 열매되신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하여 신자는 하나님의 재창조의 역사를 경험케 되고, 만물이 새롭게 되는 그 새로운 하나님의 창조역사의 최종적인 완성을 바라보게 된다.
이러한 관점들로 바라볼 때, 중생이란 단지 신자의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변화를 넘어 더 포괄적인 문맥에서 이해되어야함을 성경이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신자의 중생은 하나님의 우주적인 회복의 역사 속에서 주어진 변화의 한 국면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신자의 중생사건은 개인적인 차원에서만 이해되고 추구되거나 혹은 그러한 차원에서만 머물러서는 안되는, 좀 더 포괄적인 성격으로 접근돼야 할 사건인 것이다.
그러나 성경이 말하는 회심이란 하나님과의 수직적인 관계에서의 변화가 중심적이긴 하지만, 거기에서 머물지 않고, 자신이 속한 가정과 사회 속에서의 모든 삶의 영역들 속에서의 ‘돌이킴’까지 포함한다.
그것은 세속적인 관점들, 즉 세속적 가치관이나 삶의 원리 등을 버리고, 하나님 나라의 가치와 정신, 그리고 삶의 원리들을 받아들이는 삶의 결단을 요구하고 있는 사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한 진정한 회개자에게는 그가 새로이 들어가게 된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서, 또한 그 나라의 통치 원리를 따라, 그 나라의 삶의 가치와 원리를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 그리고 사회 속에서도 구현하고 실천하는 새로운 삶의 방식에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주님을 만나서 이뤄진 총체적 회심의 결단은 그 이후에 계속되는 신자의 삶 속에서 하나님과의 관계 뿐 만 아니라, 이웃과 공동체, 사회와 국가의 영역들 속에서 하나님의 거룩한 통치가 구현되도록 노력하는 총체적 성화의 삶으로 나아갈 것을 요청하고 있다. | ||
<저작권자 © 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구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된 구원론-박영돈 교수 (2) | 2015.09.10 |
---|---|
박일민 교수 - 반드시 구원 확신을 가져야 하는가? (0) | 2015.08.22 |
동정녀 탄생은 죄인의 구원을 위하여 필수적인 것인가? (2) | 2015.07.07 |
구원의 완성 (0) | 2015.06.24 |
구원에 이르는 신앙의 본질과 현대 복음의 오류 (0) | 201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