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왕재 박사의 성서 건강학] 배변 습관-변비 극복 

기사이미지


변비는 건강의 커다란 문제라고 할 수는 없지만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신경 쓰고 고민하며 살게 하는 몸의 현상이다. 특히 많은 여성들이 변비를 숙명처럼 안고 살고 있다. 변비가 과연 피할 수 없는 숙명과 같은 현상일까.

긴 소장여행 후 대장에서는 남은 수분이 흡수되면서 소화된 음식의 찌꺼기를 고체화하는 작업을 한다. 결국 1m 남짓한 대장에서의 과정을 거치면서 대장균이라 불리는 미생물의 작용과 수분 흡수에 의해 대변이 완성된다.

대장을 통해서 완성된 대변은 길이가 15㎝쯤 되는 직장에 쌓이게 된다. 직장에는 대변이 어느 정도 모이는가를 수시로 중추신경계에 알리는 감각수용체가 발달되어 있다. 끊임없이 밀려 내려오는 대변이 직장에 계속 쌓인다 하더라도 그때마다 대변을 볼 필요가 없도록 하나님이 창조해 놓으셨는데 자율신경계 중 교감신경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항문의 속조임근을 수축시켜 쌓여 있는 대변이 아무 때나 나오지 못하게 하여 평상시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옛날에는 사람이 죽은 것을 확인할 때 항문을 살폈다. 이는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속조임근이 작용하지 못해 직장에 쌓여 있던 변이 죽음과 동시에 배설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사망을 선언하는 과학적 사실을 근거로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대변의 양이 점점 많아짐에 따라 도저히 교감신경의 작용만으로 배변이 억제되지 못하게 될 때 중추신경계는 직장근육을 수축시켜 배변을 추진한다. 그러나 변의에 따라 배변할 상황이 아닌 경우 항문 바깥조임근에 수의적으로 힘을 주어 변을 참게 한다.

결국 항문의 바깥조임근이 속조임근을 최종 조절한다고 할 수 있다. 설사를 할 때는 어떤 병적인 이유로 미처 흡수되지 못한 수분을 포함한 많은 배설물이 엄청나게 빠르게 직장으로 모여들기 때문에 평소 우리를 편안하게 해주는 교감신경의 억제 한계를 넘어 수의근인 바깥조임근조차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어 화장실로 가게 되는 것이다.

결국 배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대장의 운동속도다. 장운동이 항진되면 자주 화장실에 가게 되고 장운동이 억제되면 배변이 더디게 된다. 그러면 흔히 주위에서 목격되는 변비환자들의 경우 전적으로 장의 운동속도만이 문제일까.

장운동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1주일에 3회 이하로 대변을 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적게 먹는 데다 소위 ‘배변습관(bowel habit)’을 잘못 들인 결과라고 보아야 한다. 즉, 변의가 있지만 그렇게 급하게 느껴지지 않을 때 중추신경의 의사를 쉽사리 무시해버리기 때문에 변비는 시작된다. 그 결과 점차 강한 자극이 있어야만 변의를 느끼게 되고 이것이 만성화될 때 변비가 고착된다.

그래서 서양인들은 ‘배변습관’이라는 말을 쓴다. 장운동이 정상이라 하더라도 적은 양의 음식을 먹으면 상대적으로 변의를 느낄 정도의 대변이 모이는 데 시간이 더 걸릴 수밖에 없다. 결국 여성이 음식을 덜 먹는 현상이나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다이어트도 변비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확실한 것은 특별히 병적요인에 의해서 변비가 생긴 것이 아니라면 변비를 해결하기 위해 적당량의 섬유질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고 매일 아침 화장실에 가서 배변을 시도하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배변은 생리적 현상이지만 습관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이렇게 정교하고 편리한 장치를 우리 몸에 장착해 놓으셨다. 절제되지 못한 삶 가운데 그 질서를 습관적으로 무시할 때 몸이 불편해지는 것을 보여 주는 좋은 예가 바로 변비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서울대 의대 교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