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설날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설날 아침이 되면 차례(祭禮)를 지냅니다. 온 가족이 깨끗한 옷을 입고 정성을 다해서 조상에게 예를 올립니다. 그런 다음에 차례 음식을 나눠 먹고 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합니다. 설날 아침에 지내는 차례(茶禮)의 의미는 뭐예요?


▲차례상 사진 

설날은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입니다. 본래 설날의 차례는 조상숭배(祖上崇拜)와 효(孝)사상에 기반을 두는데, 조상신(祖上神)과 자손이 함께 하는 시간이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평소의 세속 생활을 떠나서 조상과 함께 하며 유대감을 굳힐 수 있는 시간이 바로 설날의 차례(祭禮)인 것입니다. 성도들이 명절 때마다 조상숭배(祖上崇拜)인 차례(茶禮)문제로 가족 간에 갈등으로 고민하는 성도들이 많이 있는 것이 한국교회의 현실임을 누구도 부인 할 수 없다고 봅니다.
 
1,설의 어원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이고 설날은 그 중에서도 첫날이란 의미를 지닙니다. 즉 설은 원단(元旦), 세수(歲首),연수(年首),신일(愼日)이라고도 하는데 일년의 시작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설의 어원에 대해서는 대게 세 가지 설이 있습니다.

첫째로는 설은 ‘낯설다’라는 말의 어근인 ‘설’에서 그 어원을 찾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설은 ‘새해에 대한 낯섦’이라는 의미와 ‘아직 익숙하지 않는 날’이란 뜻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둘째로는 설은 ‘선날’ 즉 ‘개시’라는 뜻의 ‘선다. 라는 말에서 ‘새해 새날이 시작되는 날’ 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셋째로는 설은 ‘삼기다’ 또는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뜻의 옛말인 ‘섧다’에서 그 어원을 찾기도 합니다. 묵은해에서 분리되어 새해에 통합되어 가는 전이과정으로서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가야 한다는 뜻이 내재되어 있는 것입니다. 고대의 설은 정월 초하루에서 대보름까지 계속되었습니다.
 
2.설날의 유래

설날이 언제부터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로 여겨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설날을 명절로 삼기 위해서 우선 역법(曆法)이 제정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감안 할 때 설날의 유래는 역법의 제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삼국지에 이미 부여족이 역법(曆法)을 사용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고, 신라 문무왕 때에는 중국에서 역술(曆術)을 익혀 와 조력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설날은 적어도 6세기 이전에 중국에서 태양 태음력을 받아들인 이후 태양력을 기준으로 제정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한편 역사적인 기록을 통해서도 설날의 유래를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수서를 비롯한 중국의 사서들에서 신라인들이 원일(元日)의 아침에 서로 하례하며 왕이 잔치를 베풀어 군신을 모아 회연하고 ,이날 일월 신을 배례한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 삼국사기 제사 편에 백제 고이왕 5년(238) 정월에 천지신명(天地神明)께 제사(祭祀)를 지냈으며, 책계왕 2년(287) 정월에는 시조동면왕 사당에 배알하였다고 합니다.

이때의 정월 제사가 오늘날의 설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는 확인할 수 없으나 이미 이때부터 정월에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것으로 보아 오늘날의 설날과의 유사성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신라에서는 제36대 혜공왕(765-780) 때에 오묘(五廟;태조왕, 문무왕, 미추왕, 혜공왕의 조부와 부)를 제하고 1년에 6회씩 성대하고도 깨끗한 제사를 지냈다고 하는데. 정월2일 정월 5일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설날의 풍속이 형성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설과 정월 대보름, 삼짇날, 팔관회, 한식, 단오, 추석, 중구, 동지를 9대 명절로 삼았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과 한식, 단오, 추석을 4대 명절이라 하였습니다. 계속 중국의 여러 가지 역법 체계들을 사용해 오다가 , 일단 공식적으로 역법이 양력(陽曆)으로 바뀐 것은 고종31년(1895)이었습니다,

공식적으로 바뀌었다고는 하나 뿌리 깊은 음력(陰曆) 설날 풍속은 계속되었고 , 그 후 일제하에서도 신정 과세를 강압적으로 추진했지만 “일본산‘이라 취급되어 민가에서는 구정을 해방 후에도 많은 논란을 겪어 오다가 1985년부터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음력설이 부활되었습니다, 그러나 신정과 구정의 논란은 계속되었고, 1989년에 이르러서 “설날”이라는 명칭을 갖고 3일간의 연휴 오늘날과 같이 명절(名節)로 확고히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차례(祭禮)의 의미

한국의 세시풍속(歲時風俗)에서는 한 해가 시작되는 첫 날을 설날이라 하여 여러 가지 음식을 준비하여 먼저 조상신(祖上神)에게 제사하는 것을 차례(茶禮)라 합니다.

차례(祭禮)는 언제 지내는가 하면 예전에는 매월 초하루와 보름 그리고 명절에 지내는데 지금은 대개 설날과 추석 명절에만 지내며 형제와 가까운 친족이 전부 종가 집에 아침 일찍 모여 차례를 지내며 차례(茶禮)의 대상은 돌아가신 조상 가운데 자신으로부터 4대까지 해당됩니다. 고조할아버지와 할머니 증조할아버지와 할머니 그 다음 돌아가셨다면 할아버지와 할머니와 아버지와 어머니까지입니다.

5대조 이상은 차례(茶禮)를 지내지 않고 제삿날 기제사도 지내지 않고 10월에 지내는 묘사로 대신합니다. 차례를 지내는 장소는 조상신(祖上神)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이 있을 때는 사당에서 지내고 그렇지 않으면 대개 대청이나 큰방에서 지냅니다.

차례(茶禮)음식은 계절의 특식을 조상신(祖上神)에게 올리되 설에는 떡국을 올리고 추석에는 송편을 올립니다. 또한 특징은 축문이 없으며, 나머지는 기제사 음식과 유사한 술과 과일과 적과 전이며, 술은 한번만 올리는 단 잔으로 하며 원칙적으로 소주는 쓰지 않습니다.

설날 차례(祭禮)는 떡국이 주식이므로 “떡국차례(祭禮)”라하고 8월 한가위차례는 “송편차례(祭禮)”라고도 합니다. 이 설날에는 타향에 나가 있던 사람도 모두 고향에 돌아가 생존하신 부모님과 어른들에게 세배를 하고 돌아가신 분들에게는 제례를 지내기 때문에 여러 일가들이 이때에는 거의 다 모이게 됩니다. 이 풍속이 현재에도 내려와서 섣달그믐이나 8월 추석 전에 귀성객으로 복잡한 것은 이 풍속에서 연유한 것입니다.

4. 차례(茶禮)와 제사(祭祀)의 차이점

차례(茶禮)는 한자에서 보듯 차(茶)를 올리는 것으로 정월의 조상숭배 행사의 중요한 세시풍속(歲時風俗)입니다. 차사(茶祀), 정조다례(正朝茶禮)라고도 합니다. 본래의 뜻은 여러 명절과 조상의 생일 또는 매월 음력초하루, 보름에도 지내는 간단한 아침 제사를 의미하던 것입니다. 지금은 명절(설과 추석)에만 지내고 있으며 이를 차례(茶禮)라고 합니다.

제사(祭祀)는 죽은 사람에 한하여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기제나 문중들이 모여 지내는 시제가 있습니다. 즉, 차례는 2대 봉사(부모와 조부)에 대한 것이고 시제는 조상 전체를 기리는 것입니다. 또한 차례(茶禮)상은 설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을 올리는 것이고 제사(祭祀) 때는 메(밥)와 갱(국)을 올리는 것이므로 다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행사에는 주관자가 있듯 제사에도 제주(祭主)가 있으며 제주는 제사의 주인입니다.

즉, 장자세습에 따라 제주가 정해지고 이 제주 외에는 제사의 참석자에 불과한 것입니다. 지금은 전통 제사의례가 많이 변화 되고 있습니다. 즉 대가족 제도가 약화되면서 형식적인 유형으로 되어가고 있습니다.

5,설날과 차례(祭禮)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크리스천들은 설날과 추석 명절을 어떻게 보내는 것이 바람직할까요? 차례(祭禮)는 분명히 이방인의 조상숭배(祖上崇拜)입니다. 설날 차례는 조상신(祖上神)에게 제사로서 경배하는 것입니다. 이방인이라는 말은 하나님을 신으로 모시지 않는 모든 이들을 이방인이라고 합니다. 차례는 귀신(鬼神)에게 제사(祭祀)하는 것입니다.

성경은 “대저 이방인의 제사하는 것은 귀신에게 하는 것이요 하나님께 제사하는 것이 아니니 나는 너희가 귀신과 교제하는 자 되기를 원치 아니하노라”(고전10:20)고 말씀 합니다. 우리는 차례제사나 풍어제(豊漁祭)나 민속놀이 등을 풍속(風俗)이라는 이름으로 이해하려하나 하나님께서 금지하신 귀신(鬼神)에게 제사는 형벌이 따를 것을 알아야 합니다. 설이나 추석의 차례(祭禮)는 귀신(鬼神)과 교제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진노의 대상입니다.

그러나 설날 세배(歲拜)하는 것은 살아계신 부모와 자녀 관계를 성숙시켜 자녀들이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요셉이 노년에 연약해진 야곱에게 자녀들을 데리고 와 축복기도를 받았던 일을 기억하며 자녀들에게 세배를 받고 축복하는 것은 좋은 미덕입니다.

자녀들을 축복하는 것이야말로 신년에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 중의 하나입니다. 또한 명절엔 가족이 모두 신앙생활을 하는 경우가 아니면 차례(祭禮)인 제사(祭祀)문제로 대립하기 쉽습니다. 신앙적인 문제로 대립하지 말고 명절 기간 동안 가족들을 사랑으로 극진히 섬겨 감동하게 만들어 전도하는 기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어려운 가정환경으로 인해 가족모임에 참석 못한 가족에게 행복의 메시지를 보내고 작은 선물이라도 우편으로 보내는 여유가 필요합니다. 이것이 하나의 가족전도의 기회입니다. 또한 크리스천 가족이 신앙으로 하나님께 예배를 통해 믿지 않는 친지들을 자연스럽게 전도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출처: 아멘넷, 서재생 목사님 칼럼 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