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네 (Edouard Manet 1832-1883)

마네는 인상파 그룹의 정신적인 지주로서의 위치에 있었고 당시 많은 신문들이 인상파의 거두로 그를 표현하긴 했지만 마네는 한 번도 인상파전에 출품하지 않았다.
근대회화의 기틀을 마련하는 새로운 양식의 작가로서 회화의 평면성을 추구
일상의 주제를 채택하여 새로운 회화언어를 추구(무엇을 그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그리느냐의 문제)

전통적인 기법으로 동시대를 그리다 : 고전적+현대적+새로운 미의식의 창조=서양 근대 회화의 창시자

회화의 의미 부여 거부 : 작품의 자립 추구.

대담한 공간 처리와 강력한 색채 대비 : 원근법과 결별하고 대상의 단순화. 명쾌한 색면대비로 본질 구현

검정색을 매혹적으로 사용한 화가 : 인상파화가들과 가장 큰 차이점임.

풀밭위의점심식사(1863년, 214×270cm 파리 인상파 미하고 술관)
이 작품은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충격적인 연출로 인해 1863년 낙선작 전시회에 출품되자 거의 모든 사람들로부터 맹렬한 비난과 항의가 쏟아졌다.
'거장이 갖는 이미지와 현대 생활을 보여주는 정경의 융합'이라는 마네의 의도가 감춰져 있다. 그것은 당시 권유에 대한 도전이자 예술의 인습에 대한 문제 제기와 도발이기도 했다.이 작품은 마네의 작품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작품이면서 동시에 인상주의가 탄생할 수 있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미술사적으로도 상당히 의미 있고 중요한 자료로서 평가되고 있다

올랭피아(1863년. 130×190cm 파리 루브르미술관)
티치아노의 올랭피아의 구도에서 차용. 여체로서의 관능성, 신비로운 신화적 일면을 배제하고 창녀임을 알수 있는 도상적 특징에도 불구하고 당당하고 자신있으며 저돌적으로 정면을 바라보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 재현양식은 중간색조는 사용하지 않은 단순화된 색채가 어둡고 밝게 대조되어 단조로운 색채들을 대위법적으로 배치했다
도발적인 태도와 시선은 현재에도 보는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이 그림이 1865년 살롱에 출품되었을 때 도덕적으로 용인할 수 없는 그림이라는 관객들의 비난과 항의 때문에 경관을 배치하여야 할 정도였다고 한다. 같은 해 살롱전에 걸렸던 카바넬의 <비너스의 탄생>과 같은 거의 포르노에 가까운 이런 그림들이 쉽게 받아들여 진 것은 이러한 작품들이 신화나 역사화의 허울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캔바스의 표면이 창문처럼 다른 세상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바로 창문의 형식자체를 보여주는 것, 즉 미술의 형식이 중요해지는 것도 매우 현대적인 양상이라 하겠다

투우 (1863~66 48×60.8cm 시카고 미술관)

마네는 1865년에 스페인을 여행했다. 그는 스페인의 회화에 매료되어 있었고, 일체의 감정을 배제한 채 단지 빛과 그림자로만 승부를 걸고 있다. 극적인 상황의 형상을 통해 마네는 추상적인 요소에도 근접하고 있는 듯하다

폴리 베르제르의 술집(1881~82 96×130cm 런던 대학 커톨드미술관)
이 살롱에 전시되었던 1882년 레죵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하지만 건강이 악화되어 이듬해에 죽음을 맞이해야 했던 그에게 이 명예는 너무 늦은 것이었다.
마네의 말년을 장식하는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중앙의 우울한 표정을 지닌 젊은 여인과 그 옆에서 뒷모습을 보이고 있는 여인, 실크 모자를 쓴 남자 등의 배치가 재미있다. 우울에 젖어 있는 여인과 서로 공유하기를 꺼리는 배경의 화려함은 마네의 근대적이고 도시적인 세련된 감각을 드러낸다

스페인 무희 롤라 드 발랑스 ( 1862년, 123 x 92cm)
이 작품은 '스페인 발레'에 등장했던 롤라 멜레아라는 무용수를 그린 것이다. 그녀는 마드리드 왕립극장의 마리아노 캄푸르비 무용단의 수석 무용수였으며, 세칭 롤라 드 발랑스라고도 불렸다. 마네는 이 여인을 통해 당시 스페인 사람의 전통적인 모습을 표현하려 했으며, 고야의 <알바 공작 부인>을 본떠 작품을 제작했다. 이 스페인 여인에게서 착상을 얻은 보들레르는 마네를 위해 사행시를 지었고, 그의 유명한 시집 『악의 꽃』에 수록하게 된다.

거리의 여가수 (1862 175.3×108cm 보스턴 미술관)

파리의 거리를 걷고 있던 마네는 카페에서 나오는 거리의 여가수를 보았다. 순간 예술적 가능성을 포착한 마네는 그녀에게 다가가 모델이 되어 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그녀가 너무도 완강하게 거절을 하는 바람에 하는 수 없이 다른 모델을 통해 그가 보았던 포즈를 만들어 냈다. 마네는 평범하고 일상적인 소재에서도 얼마든지 예술적인 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이 걸작은 당시의 아카데믹한 인습에 대한 반항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맥주잔을 들고 있는 여급 (1878 97.5×77.5cm 런던 국립미술관)

마네의 후반기 작품으로 빛과 그 흐름을 통해 색채를 풍부하게 만들었다. 그는 구성의 면밀함보다 빛에 의한 강조를 통해 시원한 화면을 연출해 내고 있다

피리부는소년 (1866년)
강력한 색채 대비로 화면에 독특한 효과를 주는 방법을 이용했으며 손과 발 부분을 빼고는 그림자가 전혀 없는 평면적인 묘사로, 인물의 실재감을 표출시킨, 마네의 재주의 자부심을 읽을 수 있는 대표작의 하나, 검정, 빨강등 몇 개 안되는 색면이 각기 다른 음을 내는 듯한, 이른바 음악적 효과를 겨냥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 배면처리도 원근법이나 수평 감각을 배제, 종이를 바른 듯 '없어진 배경'인 이러한 단순함이 오히려 실재감을 강조한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 대상을 이와 같은 '공기로 감싸는' 수법은 그가 1865년 마드리드의 프라도 미술관을 방문, 벨라스케즈의 작품을 모사하면서 배웠다는 사실이 마네의 편지에서 밝혀졌다. <피리 부는 소년>이 1866년 살롱에서 거부되자 소설가 에밀 졸라가 자청해서 변호에 나섰다. 모델은 마네와 보들레르의 친구 근위대 사령관이 데려온 근위군의 소년병.

나나,(1877년)
파리의 상류층 사회의 퇴페풍조를 전하는 작품으로, 속옷바람의 육욕적인 여인이 거울 앞에 서서 루즈를 바르고 있다. 긴 의자에는 야회복 차림의 중년신사가 화장이 끝나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여인의 생명력이 응축된 튀어나온 엉덩이와 이 엉덩이를 탐욕스럽게 바라보는 사나이와의 대조가 해학적이다.

해변에서, 에두아르 마네, (1873년, 캔버스에 유채, 59.6 x 73.2cm)
마네는 1873년 살롱전에 <비어 홀>을 출품해, 네덜란드 화풍을 제대로 옮긴 작품이라 하여 보수적인 평론가들에게서 호평을 받았다. <비어 홀>은 조각가 에밀 벨로의 초상화로서, 1872년 네덜란드에서 본 프란스 할스의 <술고래>에 대한 마네의 경애심을 담고 있었다. <해변에서> 역시 그림 속의 모래알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할스의 예술적 감각에 대한 정취를 감지할 수 있다. 마네의 풍경화는 풍경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언제나 거기에 인물을 배치하고 있다. 으젠느 부댕이나 모네가 그린 해변과 비교해 볼 때, 마네의 <해변에서>는 화면 대부분을 인물들이 차지하고 있다. 이 작품은 1873년 7월 마네가 가족과 함께 베르크쉬르메르에서 3주간 체류하는 동안 그린 그림으로, 해변에서 책을 읽고 있는 부인 쉬잔과 남동생 유진을 담고 있다. 수평선은 그림의 윗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하늘을 배경으로 선박의 닻이 드문드문 점을 그리고 있다. 마네는 모래와 하늘뿐인 회색빛 세계에 붉은 선을 가미하면서, 북해의 해변을 밝은 분위기로 바꿔 놓고 있다.

로슈포르의 탈출, (1880∼81년, 80 x 73cm)

19세기 후반에 일어났던 한 사건을 다룬 이 작품은 후일 마네가 전해들은 이야기를 토대로 그린 것이다. 소재를 제공한 로슈포르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프랑스에서 활동한 언론인이자 정치가였다. 나폴레옹의 제 2제정을 반대했던 로슈포르는 파리 코뮌 시기에 코뮌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1872년 누벨 칼레도니아로 유배되었다. 그는 투옥된 지 2년이 지난 1874년 섬을 탈출하였다. 이후 스위스에 숨어 지내던 로슈포르는 1880년에 사면을 받고 귀국하였다.

이 작품의 소재가 실재 사건을 토대로 한 것은 틀림없지만, 사건에 대한 정확한 정보나 혹은 암시적인 비판, 시사성을 찾을 수 없다. 이는 마네가 한 정치인의 극적인 일화에 어떠한 중요성도 부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극적인 탈출을 감행한 로슈포르가 누구인지, 함께 탈출을 돕고 있는 인물들은 누구인지, 그러한 것들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 물결치는 파도가 화폭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그림의 주된 모티프는 탈출자가 아니라 일렁이는 파도이다. 바다를 강조함으로써 작은 배는 더욱 위태롭게 부각되어서 탈출자의 고독이 강조되고 있다.

모든 인상주의자들에게 있어 바다는 가장 중요한 묘사 대상이었다. 모네가 네덜란드 출신의 화가 종킨트로부터 처음 그림을 배운 것도 바로 프랑스 북부의 해안이었다. 19세기 후반, 바다는 단순한 자연 공간이 아니라 해수욕 붐과도 관련된 현대적이고 도시적인 삶이 이루어지던 공간이기도 했다. 인상주의자들에게 바다는 눈부신 빛의 공간이자 동시에 해수욕이나 해변 산책을 할 수 있는 여가를 즐기는 도시 공간이기도 했다.

1880년대 초에 그려진 마네의 그림은 인상주의의 터치가 눈에 띠긴 하지만 그림의 분위기에 있어서는 인상주의와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마네의 바다는 좌절된 꿈의 공간이었다. 어린 시절 선원이 되기 위해 두 번이나 시험에 응했지만 실패했고 그 사이 견습 선원으로 일을 하기도 했던 마네에게 바다는 남다른 공간이었던 것이다. 그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바다가 인상주의자들의 바다보다 어둡고 해변의 사람들도 우울한 분위기를 띄고 있는 것은 아마도 이러한 연유인지도 모른다.

아틀리에에서의 식사

좋아하는 모티프를 자유롭게 그려 넣은 작품으로 왼족 테이블 위에 있는 투구, 장검, 검은 고양이, 그리고 그 뒤의 화분, 부인이 들고 잇는 물병과 식탁 위의 여러가지 소품이 인물 못지 않게 흥미를 끈다. 노랑, 검정, 하얀색과 엷은 푸르름이 조화를 이루고 부드러운 음영이 화면 전체를 뒤덮어 방안 공기를 아늑하고 차분하게, 그리고 친밀감이 돌도록 표현하였다. 앞쪽의 소년은 마네의 아들로 전해지는 레옹 코에라, 그 뒤가 마네의 부인, 그리고 식탁에 앉아 있는 사람은 친구인 오귀스트 르스랭이다.

막시밀리언의사형
고야의 < >의 구도 차용.

에밀졸라의초상(1868년. 오르세미술관)
인상파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받지만 인상파화가들과는 몇가지 차이점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색채로서의 검정색을 중요시했다는 것이다. 같은 검정이라도 밝고 품위 있는 검벙, 분위기 있는 검정등 변종이 만들어졌다. 필치도 인상파처럼 섬세하지 않고 붓에 물감을 듬뿍 적셔 견고한 화면을 만들었다. 그것도 여러 종류의 검정색이 만들어진 이유이다.

파리교외의 경-마장 보트의아틀리에에서 그림을 그리는모네

'성화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드의 천국 - Vigeland Sculpture Park  (0) 2013.10.11
신인상주의 미술(쇠라)  (0) 2013.05.23
가톨릭 바로크 미술  (0) 2013.04.18
8) 매너리즘 미술  (0) 2013.03.31
7) 북유럽 르네상스 미술 (15세기)  (1) 2013.03.05

+ Recent posts